search for




 

Effects of Stretching Techniques and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Pain, Stress, and Muscle properties of College Students with Neck Pain
J Korean Soc Phys Med 2024;19(4):111-121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4;  https://doi.org/10.13066/kspm.2024.19.4.111
© 2024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Beom-Cheol Jeong, PT, PhDㆍMi-Kyoung Kim, PT, PhD1ㆍKyung-Tae Yoo, PT, PhD1†

Rehabilitation Center, SG Samsung Jo-Eun Hospital
1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Namseoul University
Received October 11, 2024; Revised October 16, 2024; Accepted November 18,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abilization exercises and stretching techniques on the pain, stress, and muscle properties in university students with neck pai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four weeks to compare the pain, stress, and muscle characteristics when stretching techniques and stabilization exercises were applied separately and when the two were combined in 30 college students with neck pain.
RESULTS: The visual analog scale (VAS) and neck disability index (NDI)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tretching group (StG), stabilization group (SbG), and complex group (Cp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S was observed between the CpG and the St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DI was observed among the three group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tone in the upper trapezius between the CpG and SbG. The stiffness of the upper trapezius in the CpG and SbG was reduced significantly,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iffness of the upper trapezius was observed between CpG and SbG. The elasticity of the upper trapeziu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tG and Cp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occipital in the upper trapezius was noted between the CpG and SbG. The suboccipital of muscle ton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CpG and SbG. The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stiffness and elasticity of the suboccipital.
CONCLUSION: The complex group showed positive changes in pain, stress, and muscle properties. Therefore, college students with neck pain should be treated by applying stretching and stabilization exercises simultaneously.
Keywords : Muscle properties, Neck, Pain, Stress, Stretching
Ⅰ. 서 론

최근 현대사회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등과 같은 소형 IT 기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고, 장시간의 잘못된 자세는 신체 스트레스 증가 및 근육의 긴장도를 높이게 되며 이는 목의 통증을 발생시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1].

목 통증은 전체 인구에서 흔하게 발생되는 질환 중 하나이며,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목 통증은 유병률이 높고 지속적인 증가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목 통증은 근육과 같은 해부학적 구조와 자세,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2]. 특히 대학생의 경우 장시간 의자에 앉아 공부하기, 강의 듣기 등의 자세에서 무의식적으로 앞으로 머리를 향하며 목에 부담을 주는 자세들을 유지하게 되면서 목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목뼈 사이에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근육이 피로를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게 되어 목 통증이 유발된다[3].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신경계와 내분비계를 자극하게 되고, 통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통증을 증가시키는 악순환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하고, 목 통증 환자는 목의 표면 근육과 깊은 근육의 불균형을 포함하는 생체기계적 및 생리학적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4,5].

목 통증의 치료를 위해 견인 치료, 열 치료, 운동 치료법 등이 시행되고 있는데, Sarig-Bahat는 운동 치료법과 관련하여 환자 자가 능동 운동뿐만 아니라 관절의 가동성과 신장성, 등척성 근력강화운동, 고유수용성 운동 및 지구력 등 치료사가 선호하는 방법이나 환자의 상태, 그리고 이론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고 언급하였다[6].

목 통증 발생 시 목의 안정화에 관여하는 깊은 근육들은 근 활성도의 감소가 나타나지만, 표면 근육들은 근 활성도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7]. 늘어난 근육은 늘어난 위치를 계속 유지하고, 단축된 근육은 단축된 위치에서 계속해서 짧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목의 불균형이 발생하는데, 목 폄근육의 긴장은 신장 기법을 사용하고, 깊은 굽힘 근육의 약화는 점진적인 근력 강화를 통하여 목뼈의 안정성을 개선해야 한다[8].

이러한 목뼈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운동 중에서 멕켄지 운동(Mckenzie exercise)은 단축된 근육을 이완시켜 정상적인 근섬유 길이로 회복시키는 신장 운동 방법으로 목뼈 정렬을 개선하고 목 장애 지수(Neck Disability Index; NDI)와 통증(Visual Analogue Scale; VAS)을 감소시킨다[9]. 목 통증 환자들은 목 굽힘근에서 피로가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이러한 근육 및 인대를 강화하기 위한 운동 중재가 주로 이용된다[10]. 깊은 근육과 얕은 근육은 목의 세움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깊은 근육은 안정적인 위치에서 각각의 분절을 유지하게 해주고 움직임의 방향과 관계없이 작용하며, 목의 얕은 근육은 여러 분절에 걸쳐 있고 목뼈의 흔들림에 대항하는데, 이러한 목 근육의 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 안정성과 자세 조절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 깊은 목 굽힘근육의 강화를 진행하여, 목뼈를 중립 자세에 위치하도록 하는 중재가 목 안정화 운동이다[11].

Highland, Dreisinger, Vie & Russell의 연구 결과에서는 목뼈 주변 근육의 근력강화운동이 목의 통증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목 통증 환자에 대한 운동 치료 적용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10]. Jull 등은 두통을 지닌 환자들에게 깊은 목 굽힘근의 강화 운척도동은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움을 주게 되고 두통의 강도와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11].

이처럼 다양한 중재 방안들이 임상에서 적용되고 있으나 보다 효과적인 적용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목 통증을 지닌 대학생에게 신장 기법과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여 통증과 스트레스, 근육 특성의 변화에 보다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목 통증을 지닌 천안 N 대학교 물리치료학과에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들은 연구 목적과 절차에 대해 충분히 이해한 후 참여하였다.사전에 배부한 설문지를 통하여 목 통증에 대한 VAS 4cm 이상 또는 NDI 5~14점이고, 수술의 병력이 없는 재학생 3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9,12]. 이후 대상자들은 10명씩 3개의 그룹으로 컴퓨터 난수 배정 프로그램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2. 중재 방법

본 연구에서 실시한 모든 프로그램은 하루 40분씩 주 2회, 총 4주간 실시하였으며, 준비운동과 본운동, 정리운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은 각 프로그램에서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였으며[13], Table 1에 제시하였다. 신장 기법을 시행한 신장 운동프로그램 군(Stretching Group, StG)의 본 운동(Main exercise)은 능동 신장과 수동신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20분, 10분 총 30분 진행하였다. 본 운동은 Table 2에 제시하였다[7,14]. 안정화 운동프로그램 군(Stabilization Group, SbG)의 본 운동은 탄성 밴드를 이용하여 목과 어깨에 등척성 밴드 운동을 30분간 적용하였고, 탄성 밴드는 빨간색 탄성 밴드 180cm로 통일하였다[15]. 본 운동은 Table 3에 제시하였다[9]. 복합중재 운동프로그램 군(Complex Group, CpG)의 본 운동은 신장 기법과 안정화 운동을 함께 시행한 것이며, 능동 신장 5분, 수동신장 10분, 등척성 밴드 운동을 15분간 총 30분 실시하였다. 탄성 밴드는 빨간색 탄성 밴드 180cm로 통일하였다[15]. 본 운동은 Table 4에 제시하였다[7,9,14]. 대상자들은 연구에 참여하기 전에 통증과 스트레스, 근육 특성을 사전 측정하였고, 4주 후에 사후 측정을 실시하였다.

Main exercise program of Warm up and Cool down

Exercise
Warm up (5min) & Cool down (5min) The act of leaning the neck back
45° bend in the neck
Turn shoulders
Pulling your arms and taking your shoulders out
The act of pushing elbows back
Back of shoulders

Main exercise program of the Stretching Group

Exercise Set
Main exercise (30min) (Active stretching) Pulling your head back from a sitting position The action of bending the head back from a sitting position Pull your chin inward from the supine position The action of bending the head back in the supine position The act of bending the head sideways Turning head around Flexion onés head from a sitting position 7(sec)*15(Rep) * 1set (20min)
(Passive stretching) Upper trapezius Suboccipital Sternocleidomastoid 30(s) + 10(Rest)*3(Rep) * 1set (10min)

Main exercise program of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Exercise Set
Main exercise (30m) Isometric neck flexion 10(s) + 10(Rest)
Isometric neck extension *
Isometric neck lateral flexion 6(Rep)
Isometric shoulder flexion *
Isometric shoulder extension 2set
Isometric shoulder abduction
Isometric shoulder lateral rotation (30m)

Main exercise program of Complex Group

Exercise Set
Main exercise (30min) (Active stretching) Pulling your head back from a sitting position The action of bending the head back from a sitting position Pull your chin inward from the supine position The action of bending the head back in the supine position The act of bending the head sideways Turning head around Flexion onés head from a sitting position 7(sec)*5(Rep) * 1set (5min)
(Passive stretching) Upper trapezius Suboccipital Sternocleidomastoid 30(s) + 10(Rest)*3(Rep) * 1set (10min)
Isometric neck flexion Isometric neck extension Isometric neck lateral flexion Isometric shoulder flexion Isometric shoulder extension Isometric shoulder abduction Isometric shoulder lateral rotation 10(s) + 10(Rest)*6 (Rep) * 1set (15min)


3. 측정 도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체성분 분석기(Inbody720, Biospace, Korea)를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율 신경 검사기(Canopy9, IEMBIO, Korea)을 사용하였다. 근육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근육 탄성 측정기(MyotonPRO, MyotonAS, Estonia)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측정 장비들은 Table 5에 제시하였다.

Measurement tools

Tools Company Country
Inbody720 Biospace Korea
Myoton PRO Myoton AS Estonia
Canopy9 IEMBIO Korea


4. 측정 방법

1) 통증(Pain)

통증은 VAS(Visual Analogue Scale)와 NDI(Neck Disability Index)의 점수로 확인하였다. VAS를 통해 대상자는 주관적으로 수평선 자를 보고 0(통증이 없는 상태)부터 10cm(견딜 수 없는 통증)으로 가정하여 0-.4cm 이내인 경우는 통증이 없는 상태, .5-4.4cm는 경미한 통증, 4.5-7.4cm는 중등도 통증, 7.5-10cm는 심한 통증으로 판독하기도 한다. 현재 목 통증에 대한 점수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신뢰도는 .97 이다.

NDI를 통해 목 통증 환자들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을 평가하였으며, 10개 문항, 50점 만점으로 통증과 장애는 점수가 낮을수록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점수에 따라 0~4점 (장애 없음), 5~14점 (약간의 장애), 15~24점 (중등도의 장애), 25~34 (심한 장애), 35점 (완전한 장애)로 나타난다. 측정 당시 느끼는 정도를 체크 후 점수를 산출하였고, 신뢰도는 .801 이다[12].

2) 스트레스(Stress)

스트레스는 자율 신경 검사기(Canopy9, IEMBIO, Korea)로 심박 변이도를 5분간 측정하여 스트레스 저항지수(Stress Resistance Index, SRI) 와 LF/HF를 산출하였다. LF/HF란 수면 부족 무기력과 육체적인 피로도를 반영하는 저주파(Low frequency; LF), 심리적 정신적 피로도와 노화 만성 스트레스를 반영하는 고주파(High frequency; HF)의 균형 비율을 뜻하며, 1.0에 가까울수록 이상적이다. 자율 신경 검사기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심장이 뛸 때마다 말초혈관의 구경과 압력의 변화로 전파되는 동맥계 파동을 손가락에 착용하는 광센서로 측정하는 광전식 심박수계이다. 자율 신경 검사기는 측정된 맥파를 분석하여 평균 맥박수와 종류가 단말기와 컴퓨터에 표시가 되고, 측정된 맥파에서 순간 심박수를 분리한 후, 심박 변이도를 분석하여 자율신경계 기능 평가, 스트레스와의 연관성 등을 표시한다. 심박 변이도는 건강한 사람에서 더욱 뚜렷이 관찰되며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활성도를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자율 신경과 관련된 활동을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게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된다[16].

3) 근육 특성(Muscle properties)

근육 특성은 근긴장도 측정기(MyotonPRO, Myoton AS, Estonia) 장비를 이용하였다. MyotonPro는 근육의 특성을 객관적으로 평가 및 빠르고 쉽게 그리고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근육 진단 장비로써, 스포츠 및 의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높은 신뢰도를 갖고 있다(ICC = .88 - .96). MyotonPro는 작은 원기둥 모양의 탐침(Probe)이며, .18N으로 피부에 접촉한 후 .40N의 힘으로 15ms 동안 표면을 자극하고, 이때 발생하는 근육의 진동과 가속도를 통해 근육의 생체역학적 지표를 측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등세모근(Upper trapezius), 뒤통수밑근(Suboccipital), 목빗근(Sternocleidomastoid)을 측정하였다. 측정 시 탐침(Probe)은 측정 근육의 힘살(Muscle belly)에 대하여 수직으로 적용하였으며, 모든 측정은 멀티스캔 모드(Multiscan mode)를 사용하여 전달 간격은 .8s, Tap 반복 횟수는 5회로 실시하였으며 기계적 펄스 전달 시간(Tap time)은 15ms로 설정하였다. 위등세모근은 어깨뼈 봉우리에서 C7의 가시돌기까지 잇는 지점의 중간 부분의 근육을 촉진하여 측정, 뒤통수밑근은 C2의 가시돌기와 뒤통수 사이 중간 지점을 촉진하여 측정, 목빗근은 꼭지돌기와 빗장뼈의 수평면 절반을 촉진하여 측정하였다. 근 긴장도(Frequency; F, Hz), 경직도(Stiffness; S, N/m), 근육의 탄성도(Decrement; D, Log)를 기록하였다. F는 근육의 긴장도를 의미하며, 자발적 근육 수축을 할 수 없는 EMG에서의 Zero 수준에서도 존재하는 근육 고유의 진동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근육의 긴장도와 수축 수준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근육의 수축 증가는 근육의 긴장도 또한 증가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S는 초기 근육의 상태에서 외부 힘에 대한 근육 조직의 저항력을 말하며, 근수축으로 인해 근육섬유 조직이 옮김에 필요한 힘의 강도를 말한다. D는 근육의 탄성을 의미하며, 이는 외력이 감소 또는 제거된 후 근육이 초기 상태로 회복될 수 있는 근육의 생체역학적 특성을 뜻한다. 이론적으로 감쇄율 0은 절대적인 탄성률을 의미하며, 탄성에 반비례한다[17].

5. 자료 분석

본 연구는 SPSS Ver. 23.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정규성 분포의 입증을 위하여 Shapiro - Willks test를 실시하였다. 신장 기법과 안정화 운동 적용 방법에 따른 통증, 스트레스, 근육 특성의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해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으며, 집단의 동질성 검사와 군 간의 변화량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군 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면 사후 검정 Tukey를 실시하였고,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 = .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6에 제시하였다. 정규성 검정결과에서 각 군은 정규분포를 보였고, 각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어 동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p > .05).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G CpG SbG p
(M ± SD) (M ± SD) (M ± SD)
Gender (M/F) (4/6) (5/5) (4/6)
Age (years) 21.4 ± 1.17 20.5 ± 1.27 21.5 ± 1.65 .222
Height (cm) 167.86 ± 7.29 171.21 ± 8.24 167.26 ± 8.96 .518
Weight (kg) 64.41 ± 12.80 62.57 ± 14.64 68.15 ± 15.58 .691
BMI (kg/㎡) 22.69 ± 3.26 21.13 ± 3.56 24.12 ± 3,53 .172

Mean ± Standard Deviation, StG: Stretching Group, CpG: Complex Group, SbG: Stabilization Group, M: Male, F: Female



2. 통증(Pain)

VAS, NDI의 통계 결과는 Table 7에 제시하였다.

Comparison of the VAS and NDI

Group Pre Post F p
(M ± SD) (M ± SD)
VAS StG 3.5 ± 1.08 2.1 ± 0.88* 6.838 .004(b>a)
CpG 3 ± 1.56 .9 ± 0.74*
SbG 2.4 ± 1.78 1.2 ± .63*
NDI StG 7 ± 2.16 3.2 ± .92* 5.176 .013(b>a,c)
CpG 6.3 ± 1.49 2.2 ± .63*
SbG 6.2 ± 2.15 3.3 ± .95*

Mean ± Standard Deviat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re and po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g roups (p < .05), VAS: Visual Analogue Scale, NDI: Neck Disability Index, StG: Stretching Group, CpG: Complex Group, SbG: Stabilization Group, a: StG, b: CpG, c: SbG



VAS에서는 모든 군이 중재 전보다 중재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 < .05), CpG의 변화량이 StG의 변화량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 < .05). NDI에서는 모든 군이 중재 전보다 중재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 < .05), CpG의 변화량이 StG, SbG의 변화량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 < .05).

3. 스트레스(Stress)

SRI와 LF/HF의 통계 결과는 Table 8에 제시하였다.

Comparison of the SRI and LF/HF

Group Pre Post F p
(M ± SD) (M ± SD)
SRI StG 22.62 ± 1.9 23.53 ± 1.34 1.994 .156
CpG 23.3 ± 3.48 24.27 ± 3.3
SbG 25.13 ± 3.65 25.78 ± 2.66
LF/HF StG 0.96 ± .15 1.07 ± .19 .198 .821
CpG 1.08 ± .23 1.02 ± .09
SbG 1.06 ± .18 1.05 ± .22

Mean ± Standard Deviation, SRI: Stress Resistance Index; LF/HF; Low Frequency/High Frequency, StG: Stretching Group, CpG: Complex Group, SbG: Stabilization Group



SRI와 LF/HF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p > .05), 각 군의 변화량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5).

4. 근육 특성(Muscle properties)

근육 특성의 통계 결과는 Table 9에 제시하였다. 위등세모근(Upper trapezius, UT)의 근 긴장도(F)에서는 모든 군에서 중재 전과 중재 후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p > .05), CpG의 변화량이 SbG의 변화량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 < .05). 경직도(S)에서는 StG와 CpG이 중재 전보다 중재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 < .05), CpG의 변화량이 StG의 변화량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 < .05). 탄성도(D)에서는 StG와 CpG에서 중재 전보다 중재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p < .05), 각 군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 > .05).

Muscle properties of the UT, SO, and SCM

Group Pre Post F p
(M ± SD) (M ± SD)
UT F StG 18.61 ± 2.21 17.82 ± .79 5.048 .014(b>c)
CpG 17.74 ± 1.62 16.66 ± .62
SbG 17.22 ± 1.79 16.59 ± 1.35
S StG 365.4 ± 72.79 325.25 ± 39.15* 5.56 .01(b>a)
CpG 328.9 ± 52.09 278.9 ± 38.58*
SbG 314.35 ± 53.68 285.05 ± 19.94
D StG .83 ± .72 .88 ± .5* .348 .709
CpG .83 ± .11 .90 ± .46*
SbG .86 ± .6 .90 ± .87
SO F StG 22.34 ± 4.02 18.21 ± 2.44* 5.966 .007(b>a)
CpG 19.14 ± 4.25 14.88 ± 1.60*
SbG 19.23 ± 3.42 16.91 ± 2.38
S StG 467.8 ± 58.31 306.7 ± 60.83* .691 .51
CpG 399.1 ± 78.9 279.3 ± 17.13*
SbG 402.9 ± 113.64 294 ± 55.49*
D StG 1.21 ± .83 1.26 ± .49* .383 .686
CpG 1.16 ± .93 1.25 ± .08*
SbG 1.18 ± 1.42 1.22 ± .13*
SCM F StG 13.88 ± .9 13.54 ± 1 .97 .392
CpG 14.3 ± 1.14 13.24 ± .54
SbG 13.67 ± .55 13.2 ± 1.05
S StG 222.9 ± 21.65 209.21 ± 25.75 1.292 .291
CpG 231.15 ± 34.84 217.32 ± 24.88
SbG 213.95 ± 33.87 201.9 ± 9.96
D StG 1.11 ± .16 1.14 ± 1.11 .897 .419
CpG 1.07 ± .11 1.15 ± .07
SbG 1.15 ± .07 1.21 ± .12

Mean ± Standard Deviat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re and po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groups (p < .05), UT= Upper Trapezius, SO= Suboccipitalis, SCM= Sternocleidomastoid F= Frequency (Hz), S= Stiffness (N/m), D= Decrement (Log) StG: Stretching Group, CpG: Complex Group, SbG: Stabilization Group, a: StG, b: CpG, c: SbG



뒤통수밑근(Suboccipitalis, SO)의 근 긴장도(F)에서는 StG와 CpG이 중재 전보다 중재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 < .05), CpG의 변화량이 StG의 변화량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 < .05). 경직도(S)에서는 모든 군이 중재 전보다 중재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p < .05), 각 군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 > .05). 탄성도(D)에서는 모든 군에서 중재 전보다 중재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p < .05), 각 군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 > .05).

목빗근(Sternocleidomastoid, SCM)에서의 근 긴장도(F), 경직도(S), 탄성도(D)에서는 모든 군에서 중재 전과 중재 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p > .05). 각군 간의 변화량 차이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 > .05).

Ⅳ. 고 찰

본 연구는 신장 기법과 안정화 운동의 적용 방법에 따라 나타나는 통증, 스트레스, 근육 특성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중재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통증을 평가하기 위하여 VAS와 NDI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VAS에서는 모든 군에서 중재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 < .05), 각 군의 변화량 차이에서는 CpG에서 StG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5). NDI는 중재 후에 모든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 < .05), 각 군의 변화량 차이에서 CpG가 가장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5). 이는 수동 스트레칭과 등척성 운동이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12]에서 수동 스트레칭과 등척성 운동 모두 통증이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와 유사하며, 맥켄지 운동(Mckenzie Exercise)이 만성 목 통증 환자의 목 장애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19]에서 맥켄지 운동이 목 장애 지수를 유의하게 감소시킨 결과와 유사하다. 이러한 결과는 신장 기법 적용이 혈액순환을 도와 피로물질 제거 및 통증을 완화시키고[12], 만성통증에 의해 발생되는 근 활동성의 억제와 근섬유의 길이 변화같은 근육의 병적 상태의 개선을 촉진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19]. 또한 목과 어깨 안정화 운동 시행이 목 근육의 이완을 촉진하였고, 이로 인해 목뼈 배열이 정상화[12]될 수 있었으며, 특히 CpG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해서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낸 것은 안정화 운동과 신장 기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이점을 모두 얻은 결과라 볼 수 있다.

스트레스에서는 SRI와 LF/HF를 측정하였다. SRI에서는 모든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p > .05). 운동과 스트레스 호르몬에 관한 연구[20]에서 지속적인 운동은 스트레스를 감소 및 스트레스로부터 회복되는 시간을 단축한다고 하였으며, 운동은 반복적인 스트레스로 피로해진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를 빠르게 회복시켜 자율신경계의 회복 시간을 단축한다고 하였다. 이는 스트레스 발생에 대한 저항은 효율적 대처 시스템을 갖게 해주는 것이며, 스트레스에 노출될 때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능력이 향상되어 면역기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20]. 또한 소도구를 이용한 목 스트레칭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4]에서 스트레스 저항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와 본 연구의 결과는 상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본 연구 대상자들의 능동 신장과 안정화 운동 동작 시 보상작용을 완벽하게 통제하지 못하였고, 또한 중재의 기간이 길지 않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LF/HF에서는 모든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p > .05), 수치상으로 보았을 때 CpG이 StG, SbG에 비해 LF/HF가 1.0에 가장 근접한 1.02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바른 체형 운동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21]에서 나타난 LF/HF 변화와 유사하며, 여고생의 신체활동 참여 정도에 따른 LF/HF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22]. 고바야시 히로유키의 저서에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모두 활발하게 활동할 때 심신이 가장 건강하고 평소의 힘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고 하였고, 이상적으로 균형을 이룬 상태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1:1의 비율을 가질 때라고 하였다[2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록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수치상의 변화가 나타난 것은 목 근육에 대한 신장과 안정화 운동이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을 맞추어 자율신경계 안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근육 특성에서 위등세모근(UT)의 근 긴장도(F)에서는 모든 군에서 중재 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p > .05), 각 군의 변화량 차이에서는 CpG의 변화량이 SbG의 변화량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 < .05). 경직도(S)에서는 StG과 CpG에서 중재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 < .05), 각 군의 변화량 차이에서는 CpG의 변화량이 StG의 변화량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 < .05). 탄성도(D)에서는 StG과 CpG에서 중재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5). 뒤통수밑근(SO)의 근 긴장도(F)에서는 StG과 CpG에서 중재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 < .05), 각 군의 변화량 차이에서 CpG의 변화량이 StG의 변화량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 < .05). 경직도(S)에서는 모든 군에서 중재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5). 탄성도(D)에서는 모든 군에서 중재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5). 목빗근(SCM)에서의 근 긴장도(F), 경직도(S), 탄성도(D)에서는 모든 군에서 중재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p > .05). 군 간의 변화량 차이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 > .05). 이러한 결과는 목 안정화 운동이 목 근육의 근육 특성의 변화를 비교한 연구[11]에서 안정화 운동과 신장 기법을 병행한 중재에서 뒤통수밑근과 위등세모근의 근육 특성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다. 또한 턱 운동과 목 어깨 안정화 운동 복합운동이 목 근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24]에서 목 근육의 탄성도 변화와 유사하다. 이는 근육원섬유마디가 스트레칭의 적용으로 신장하게 되면 근섬유의 액틴(Actin)과 미오신 필라멘트(Myosin filament) 사이에 안정적인 교차결합(Cross bridge)이 나타나 길이-장력 관계(Length-Tension relationship)의 변화로 근육의 경직이 감소한다[25]. 그리고 근육의 탄력성은 규칙적인 스트레칭 운동과 유연성 훈련을 통해 증가시킬 수 있다[26]. 본 연구에서 각군의 결과는 위에서 제시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한데, 이는 신장 기법으로 인해 근육 방추(Muscle spindle)와 골지힘줄기관(Golgi tendon organ)이 자극되어 근 긴장이 완화된 것이라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안정화 운동으로 인해 목뼈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근육의 지구력이 증가하여 목 근육들의 긴장도가 감소한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목빗근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본 연구 대상자들의 능동 신장과 안정화 운동 동작 시 보상작용을 완벽하게 통제하지 못하였고, 앞서 언급한 근육 방추와 골지힘줄기관이 자극되어 근 긴장이 완화되기에는 중재의 기간이길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대학생 30명의 표본으로 일정 기간을 두고 진행한 연구이기 때문에 대학생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결과 해석에 주의해야 하며 추후 연구에서는 표본을 보다 확대하고 중재기간을 충분히 갖고 진행한다면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및 개인적 배경, 일상생활은 통제하지 못하였다. 또한 능동 신장 기법과 안정화 운동 동작 시 보상작용을 완벽하게 통제하지 못하였으며, 개인의 특성에 따라 탄성 밴드의 강도를 조절하지 못하였다. 추후의 연구에서는 연구의 기간에 따른 탄력 밴드의 강도를 점차 증가시킨다면 보다 유의한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목 통증을 지닌 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장 기법과 안정화 운동의 적용 방법에 따라 통증, 스트레스, 근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증에서는 모든 군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CpG에서 가장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스트레스의 변화에서는 세 군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위등세모근의 근 긴장도는 CpG에서 가장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경직도는 StG, CpG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탄성도는 StG, CpG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뒤통수밑근의 근 긴장도는 StG과 CpG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CpG가 StG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경직도와 탄성도에서는 모든 그룹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목 통증을 지닌 사람들의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신장 기법과 안정화 운동을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일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Choi WH, Shin W. Effects of changes in motor morphology on head posture and shoulder posture on turtle neck patients. Co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magazine. 2023;25(5):238-45.
    CrossRef
  2. Lee NY.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manual therapy plus stabilization exercise with manual therapy alone in patients with chronic mechanical neck pain. J Korean Soc Phys Med. 2022;17(1):63-74.
    CrossRef
  3. Kim SW, Kwak JH, Kim GR, Choi MG, Sung HC, Song GS. Effects of straight body exercise therapy on neck pain, necks disability index and neck length among turtle neck syndrome patient. J Korean Soc Radiol. 2021;15(2):201-10.
    Pubmed KoreaMed CrossRef
  4. Oh BS. Effects of neck stretching and abdominal exercise using props on pain, stress, and blood circulation variable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18;74:565-77.
    CrossRef
  5. Lee HJ, Kim SY. Effects of thoracic mobility exercise on cervicothoracic function, posture and pain in individuals with mechanical neck pain. Phys Ther Korea. 2019;26(3):42-56.
    CrossRef
  6. Lee KS, Han GS. The effects of cervical resistance exercise and stabilization exercise on cervical extension strength and VAS in male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20;29(5):1325-34.
    CrossRef
  7. Kang JI, Heong DK, Park SK, Yang DJ, Kim JH, Moon YJ, Beak SY. Effect of self-stretching exercises on postural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caused by forward head posture. J Korean Soc Phys Med. 2020;15(3):51-9.
    CrossRef
  8. An SH. Therapeutic approach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Co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Site. 2005;7(3):15-21.
  9. Duan R, Lee SN. The effects of neck shoulder stabilization exercise using theraband and gym ball on cervical pain and cervical spine alignment.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22;31(4):845-58.
    CrossRef
  10. Kim GD, Han GS. Effects of combine rehabilitation training cervical vertebra on the cervical extension strength, ratio of cervical flexion/extension and VAS change in chronic neck pain patient.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5;24(6):1227-38.
  11. Bark SK, Yoon JH. Effects of neck stabilizing exercise on muscle characteristics, muscle activity and posture in patients with cervicogenic headac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2019;7(4):301-9.
  12. Lee HS, Yoo JH. The effects of stretching and isometric exercise for chronic neck pain patient in strength and pain. J Korean Soc Phys Med. 2012;7(3):329-37.
    CrossRef
  13. Lee MS. The effect of spine correction exercise on body alignment, NDI and foot pressure of women with turtle neck syndrome.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7.
  14. Lee HR, Shim JH, Oh DW. Effects of high-frequency diathermy integrated into suboccipital release on tenderness and neck mobility and disability in people with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Phys Ther Korea. 2017;24(2):37-47.
    CrossRef
  15. Jang JH, Han SW. Comparison of the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and coordination of the neck spine according to the exercise posture. Co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Magazine. 2012;14(4):118-24.
  16. Bark SG, Lee CW, Lee GS, Hu SJ, Hyun GS. Rhythm-step training with self-contained sports massage is available for university students effects on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stress and pressure pain threshold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21;86:451-9.
    CrossRef
  17. Dolgion B, Jeong BC, Yoo KT. Effect of mat pilates and kinesio taping on shoulder posture and muscl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with round shoulder. J Convergence Inf Technol. 2021;11(12):254-64.
  18. Kang JI, Beak SY, Jeong DK. Effects of McKenzie exercise on the neck muscles fatigue, and neck disability index in chronic neck pain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9;14(4):93-101.
    CrossRef
  19. Jeong JH, Kin HH, Song CH.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J Korean Soc Phys Med. 2011;6(1):81-92.
  20. Jo JH. Exercise and stress hormones. The Korean Sports Association. 2019;17(3):529-38.
  21. Woo KH, Yang JO, Lee JS. The effect of the correct physical exercise program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balance and back pain index of middle school girls. Journal of Kinematics. 2014;16(2):11-20.
    CrossRef
  22. Seo JP, Kim HJ.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HRV and stress level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2014;21(5):665-71.
    CrossRef
  23. Hiroyuki Kobayashi. Why is this good for you? Kim Youngsa, 2012.
  24. Yu LJ. The effects of cervicoscapular complex exercises with jaw exercises on mastication and cervical muscles biomechanical properties and head posture for subjects with forward head posture.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2023.
  25. Lee HS. The effect of combination of passive stretching exercises and elastic taping on upper trapezius muscle tone. Korean Soc Phys Med. 2023;18(4):97-107.
    CrossRef
  26. Park SR, Roh HL. Changes in flexibility and muscle elasticity according to the self-stretching method of the hamstring muscle. J Korean Soc Phys Med. 2023;18(4):77-87.
    CrossRef


November 2024, 19 (4)
Full Text(PDF) Free

Social Network Service

Services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