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발달은 생애 전 과정에 걸쳐 이루어지는 복잡하고 연속적인 과정이다. 이는 하나의 개체로 수정된 순간부터 시작되어 생애의 끝까지 지속되며, 이 발달 과정에서는 단계마다 성취해야 할 과제들이 있으며, 이러한 과제들을 달성함으로써 해당 시기에 맞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특정 과제와 발달 측면이 강조되는 기간을 발달단계라고 한다[1].
발달 지연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운동,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성 등 4가지 주요 영역에서 이상이 있는 것으로, 평균 연령에 비해 발달 기준이 낮은 상태를 말한다. 4가지 영역 중에서 한 영역에서 40% 이상의 지연을 보이거나 둘 이상의 영역이 25% 이상의 지연을 보이는 경우 발달 지연이라고 보고되고 있으며, 해당 연령에 이루어져야 할 발달이 성취되지 않은 미성숙한 상태를 말한다[2]. 발달 지연 아동들은 시-지각, 인지, 운동, 감각 기능, 조절 능력, 운동 계획 및 협응 능력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일상생활과 학습, 사회성을 성공적으로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며[3] 특히, 발달 과정에서 감각 처리와 감각 실행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과제 수행, 놀이, 일상생활 활동에 있어 비효율적이며, 수행의 만족감이 저하 된다[4,5]. 발달 지연 아동의 신체적인 측면에서는 일반 아동과 큰 차이가 없을 수 있지만, 운동 숙련 측면에서는 일반 아동보다뒤처지는 경우가 많다[6]. 이에 따라 발달 지연 아동들은 균형, 민첩성, 연결 동작, 정교한 운동 실행 능력 등에서 미숙한 특성을 보인다[6]. 이들은 반복적인 움직임이나 실행 장애와 같은 비정형적인 양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표준화된 운동 평가에서는 과제의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지연이 더 많이 나타난다[6,7]. 이러한 운동 실행 능력의 저하는 연령에 맞는 일상생활이나 학습 능력,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지 못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3]. 감각 실행 능력의 어려움을 가진 발달 지연 아동들은 감각적 손상이나 결핍이 없고 근육에도 문제가 없으나, 지능과 행동 사이의 연결에 문제가 있다[8]. 이들은 다른 친구가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것을 보면서 이해는 할 수 있지만, 직접 장난감을 가지고 놀 때는 어떻게 계획하고 다뤄야 하는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8]. 이러한 감각 실행 능력과 함께, 발달 지연 아동에게 수반되는 대표적인 증상으로 시-지각 문제를 들 수 있다[9]. 시각적 자극이 뇌로 전달되면 전정 감각, 고유 수용성 감각, 촉각 등과 같은 여러 감각과 통합되어 정확한 적응 반응에 필요한 정보를 눈에 전달한다. 그러나 대뇌 피질의 시각 영역이 관절, 근육, 피부 및 전정계와의 정보전달에서 원활하지 않다면 시각 변별력이 좋지 않을 것이다. 이에 따라 아동은 신체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받지 못해 시-지각 문제를 가지게 된다. 발달 과정에서 시-지각 문제가 발생하면 입기, 먹기, 쓰기, 읽기, 사물의 위치 파악 등의 일상생활 활동과 교육, 놀이 등 다양한 분야에 어려움이 발생하며, 교과 학습 준비 기능에 문제를 초래하고, 더 나아가 학습 능력 저하의 주요인이 된다[10,11,12]. 발달 지연 아동을 위한 치료적 개입은 학교나 특수교육 현장에서 일하는 치료사들에 의해 지난 수년간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치료 접근법에는 지각-운동 훈련, 감각통합치료, 운동감각 훈련, 인지-정서적 훈련, 물리치료 등이 포함된다[13]. 이 접근법 중 하나인 감각통합치료는 Ayres에 의해 정리되었고 Ayres에 따르면, 감각 정보를 잘 통합하는 사람은 협응 능력과 운동 계획 능력이 높으며 사회적 적응력도 뛰어나지만, 감각통합 능력이 부족한 사람은 노력에 비해 운동과 적응 능력이 저하된다고 하였다[14] 또한 감각통합 능력을 촉진하기 위한 치료로는 전정 감각, 고유수용감각, 촉각 감각적 자극을 주어 이 감각들을 통합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치료의 결과는 운동 기술, 지각 능력 및 주의 집중의 발달과 감정적 반응의 변화 등으로 평가하게 된다고 하였다[14]. 선행 연구에 따르면, 발달 지연을 가진 집단에서 감각 통합장애의 발병률은 40∼88%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15,16].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감각통합치료가 발달 지연 아동의 기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술의 향상과 스마트기기의 보급, 컴퓨터의 발전은 인간의 감각, 기억, 의사결정, 운동기능 그리고 의사소통 기능을 확장하거나 부분적으로 대체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신경 심리 검사뿐 아니라 교육, 심리 검사의 제작 및 활용, 치료적 수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17]. 최근 재활치료 분야에서도 컴퓨터를 이용한 전문 기술의 적용을 통해 다양한 인지 재활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성인 뿐 아니라 교육 및 오락 목적으로 사용하는 아동들에게도 점점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18].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임상 현장에서도 컴퓨터나 Tablets PC 등을 활용한 치료와 연구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책과 같은 전통적 매체보다 적은 노력으로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발달 지연 아동 중재에 효과적이다[19]. 컴퓨터나 Tablets PC를 이용한 치료는 다양하고 흥미로운 콘텐츠를 통해 충분한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므로, 낮은 동기부여를 가진 대상자나 시-지각 및 주의 집중력 등의 인지기능에 어려움이 있는 발달 지연 아동의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일상생활 기술과 소 운동 기술을 발달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20]. 특히, Jeon과 Yoon은 아동에게 시-지각 훈련과 신체활동을 함께 적용하는 것은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고 집중력을 높여 더욱 적극적인 치료 효과를 끌어낼 수 있다고 하였다[21].
본 연구의 목적과 관련이 있는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첫 번째로, 감각통합 치료가 시-지각 기능 및 시-운동 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16명의 ADHD 학령기 아동 대상으로 8주간 감각통합 치료를 실시한 연구에서는 미세한 손의 조절, 근력과 민첩성에 효과를 보였고[22], 감각통합 치료가 아동의 시각-운동 통합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23], 회기마다 평가한 의자와 아동의 발 사이 거리, 시-지각 발달검사의 눈-손 통합 및 시각-운동 속도가 개선되었으며, 이는 학령기 전.후의 중요한 학교 과제를 위한 자세 조절과 시각-운동 통합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되었다[24]. 또한, 발달 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감각통합 치료의 효과를 조사한 연구에서는 시-지각 발달 검사와 눈-손 협응 및 시각-운동 속도 평가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고[23], 또 다른 연구에서는 발달 지연 아동의 시-운동 협응 및 소 운동 협응 기능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25]. 그리고 5세 11개월 실행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감각통합 치료가 체성실행장애 아동의 적응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 미쳤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26].
두 번째 방법으로, 아동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CoTras-C) 중재법이다. 주의력에 문제가 있는 자폐스펙트럼 아동에게 CoTras-C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에서는 전산화 신경 인지기능과 별 지우기 검사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고[27], 4명의 아동에게 CoTras-C 프로그램을 12회 적용한 결과, 단기기억, 별 지우기 정확도, 반응시간이 개선되었으며 시-지각 기능 향상을 나타냈다[28]. 또 다른 연구에서는 15명의 아동에게 CoTras-C 프로그램을 20회 적용한 후 시-지각 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 활동 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29]. 이러한 연구들은 감각통합 치료 및 아동 CoTras-C 프로그램이 시-지각 기능 및 감각 실행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며, 본 연구에서는 발달 지연 아동의 학습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시-지각 능력과 감각 실행 능력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감각통합 치료와 CoTras-C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아동의 시-지각 기능과 감각 실행 능력이 향상되고 더 나아가 일상생활 활동에서 학습 수준이 향상되는 효과가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본 연구는 2024년 6월 14일부터 2024년 8월 31일까지 대구광역시 중동에 소재한 J소아청소년과 의원 부설 센터에 내원하는 아동 중 발달 지연 진단을 받아(R620 코드) 감각통합치료를 주 2회 받고 있고, K-DTVP-3 결과 눈-손 협응, 따라 그리기, 시각 통합 하위 검사 척도 점수에서 표준점수 6-7점으로 평균 이하의 결과를 받은 아동, BOT-2 결과 Fine Motor precision 문항에서 척도 점수 10이하, fine motor Integration 문항에서 척도 점수 10이하 Bilateral Coordination 문항 에서 척도 점수 10이하, Upper Limb Coordination 문항에서 10이하 점수로 평균 이하의 결과를 받은 5~6세 아동 28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3명은 감각통합치료와 CoTras-C프로그램을 병행한 치료를 하였고, 대조군 15명은 감각통합치료를 중재하였다. 부모님의 인터뷰와 진료 기록지로 진단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였고, 대상 아동과 부모님께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 방법, 중재 내용, 연구 참여 기간을 자세히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관한 동의서를 받았으며, 동의서에는 연구자의 소개 및 연구의 목적 및 방법과 중재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고 개인정보는 연구 목적 이외에 노출되지 않을 것과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고 원하지 않을 경우 철회할 수 있음을 명시하고 설명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 에게는 사전검사 K-DTVP-3, BOT-2평가를 진행한 후, 실험군 13명에게는 CoTras-C 프로그램 10분, 감각통합치료 30분을 주 2회, 40분 10주간 중재하였고, 대조군 15명에게는 감각통합치료를 주 2회 40분, 10주간 적용하였다. 중재가 끝난 후에는 사후 검사 K-DTVP-3, BOT-2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 3판(Korean-Developmental Visual Perception-3; K-DTVP-3, Insight, Korea)으로 시-지각 능력과 시각-운동 능력을 사전. 사후로 측정하였다. K-DTVP-3의 5개 하위 검사는 Eye-Hand Coordination(눈-손 협응EH), Copying(따라 그리기CO), Figure-Ground(도형-배경FG), Visual Closure (시각 통합VC), Form Constancy(형태 항상성FC) 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시-지각 반응 시 운동 개입 정도에 따라 세 가지 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각 하위 검사는 운동 개입이 최소화된 시-지각(운동 축소화-시-지각 지수Motor Reduced Visual Perception; MRVP), 운동 개입이 뚜렷한 시-지각(시-지각 통합 지수Visual-Motor Integration; VMI), 앞의 두 가지 모두가 하나로 통합된 일반 시-지각(일반 시-지각General Visual Perception; GVP) 범주로 분류된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5개 하위 검사 모두 .86~.88 이었고, 종합 척도의 신뢰도 계수 .92~.95의 신뢰도를 보여준다[30] 또한, 아동의 실행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BOT-2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Pearson Assessments, America)를 사전, 사후 평가로 사용하였고, 이는 Fine manual control, Manual coordination, Body coordination, Strength and agility 총 4가지 복합 운동 영역의 숙련도를 평가하며, Fine motor precision, Fine motor integration, Manual dexterity, Upper-limb coordination, Bilateral coordination, Balance, Running speed and agility, Strength 총 8가지 하위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혼합 점수(Composite)에서 내적 일관성 신뢰도 개수는 .78~.97의 범위이고, 검사 재검사 계수는 .53~.98 , 평가자 간 신뢰도 계수는 .92로 높게 나타났다[31].
본 연구에서는 실험군 중재를 위해 CoTras-C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for Children, GrS International Co.LTd, Korea) 프로그램을 매회기 10분간 “어디 숨었나” “잡기 놀이” “풍선 터트리기” 3개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어디 숨었나” 프로그램은 주의집중과 안구 운동의 결과치를 얻을 수 있으며, 방해 자극을 제시하여 동물이 움직이는 것을 끝까지 보고 어디에 숨었는지를 알아맞히는 콘텐츠이다. “잡기 놀이” 프로그램은 주의 집중, 대상 재인, 안구 운동, 기억, 시각 변별, 눈-손 협응의 결과치를 얻을 수 있으며 캐릭터들이 정지해 있거나 돌아다니는 상태에서 캐릭터의 색깔이나 얼굴 등 모습이 이전과 바뀌었을 때 빠르게 터치 하여 정답을 맞히는 콘텐츠이다. “풍선 터트리기” 프로그램은 공간 관계, 주의 집중, 눈-손 협응의 결과치를 얻을 수 있으며, 날아다니는 풍선을 새의 부리로 터트리는 게임 형식의 콘텐츠이며 전용 컨트롤로(숫자 방향키, 1,2,3,4) 이용하여 버튼을 눌러 이동하면서 풍선을 터트려 점수를 올리는 콘텐츠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회기 13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10분간 CoTras-C 프로그램을 중재한 후 30분간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에게 적용하는 감각통합 ASI(Ayres Sensory Integration, Southpaw Enterprises, Fun and Function, TFH Special Needs Toys, America) 프로그램은 감각통합 중심 원리[28]를 아동에게 적용하도록 하였고, 이는 아동의 내적 동기(inner drive)를 유발하여 감각 운동 활동을 자발적으로 찾아내고 참여하게 하여 아동이 외부 환경을 느끼며 감각 자극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프로그램의 단계별 세부 내용은 Table 1에 기록되어 있다.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Program <“The Out-of-Sync Child has Fun” - Carol Stock Kranowitz>
program |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Program | |
---|---|---|
Period | ||
1-2 | Stretching line | Goal! trampoline |
3-4 | Wheelbarrow Walk and Obstacle Passing | Look back |
5-6 | Let's us catch fish | Swing, hit, and throw |
7-8 | Cloth tube play | Take a scooter to Treasure Island |
9-10 | Citrus Balls | Pokin O’s |
11-12 | Schedule Board | |
13-14 | Guesstimation with Objects | Beanbag jai aiai |
15-16 | Treasure Hunt | Billions of Boxes |
17-18 | Catch a marble with a cup going down a ramp | Squirt Them Down |
19-20 | Metronome Code | Flashlight Tag |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 분석은 SPSS 18 version을 사용하였고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a = .05로 하였다. 두 집단의 정규성 유무를 검정하기 위해 Shapiro-Will test를 실시하였고, 두 집단이 정규성에 만족하여 모수 검정을 시행 하였다. 중재 전과 후 두 집단 간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 표본 t 검정을 시행하였고, 중재 전 후 집단 내 치료 변화를 각각 비교하기 위해 대응 표본 t 검정을 시행하였다.
중재 전ㆍ후 두 집단 간 시-지각 기능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 표본 t 검정을 시행했을 때, 두 집단 모두 중재 후 시-지각 기능의 향상이 나타났으나, 실험군에서 더 큰 개선이 관찰되었다. 특히, 실험군에서 EH, FG, FC, GV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 .05) (Table 2). 각 집단 내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 검정을 시행했을 때는 두 집단 모두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평균 점수는 실험군에서 더 큰 폭으로 증가했고(Table 4), 결과적으로 감각통합치료 및 CoTras-c 프로그램을 병행한 중재가 시-지각 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Compare pre- and post-intervention K-DTVP-3 visual perceptual function differences
pre-test(M ± SD) | post-test(M ± SD) | t | p | ||
---|---|---|---|---|---|
EH | experimental group (n = 13) | 66.15 ± 39.65 | 116.46 ± 33.02 | 2.334 | .028* |
control group (n = 15) | 85.73 ± 40.34 | 119.27 ± 30.37 | |||
CO | experimental group (n = 13) | 9.08 ± 5.71 | 23.85 ± 11.28 | .627 | .536 |
control group (n = 15) | 8.60 ± 5.36 | 21.73 ± 4.35 | |||
FG | experimental group (n = 13) | 19.92 ± 10.48 | 39.54 ± 12.31 | 3.335 | .003* |
control group (n = 15) | 22.27 ± 9.46 | 33.40 ± 9.89 | |||
VC | experimental group (n = 13) | 8.31 ± 2.81 | 16.46 ± 3.89 | .270 | .789 |
control group (n = 15) | 6.13 ± 3.62 | 14.13 ± 2.80 | |||
FC | experimental group (n = 13) | 21.08 ± 4.94 | 37.08 ± 5.89 | 2.530 | .018* |
control group (n = 15) | 21.60 ± 6.63 | 32.87 ± 4.09 | |||
GVP | experimental group (n = 13) | 28.31 ± 5.28 | 60.62 ± 12.26 | 3.139 | .004* |
control group (n = 15) | 30.40 ± 5.58 | 53.87 ± 11.72 | |||
VMI | experimental group (n = 13) | 9.00 ± 2.68 | 23.92 ± 7.44 | 1.947 | .062 |
control group (n = 15) | 13.40 ± 7.67 | 23.80 ± 10.43 | |||
MRVP | experimental group (n = 13) | 19.38 ± 3.3 | 38.23 ± 8.75 | 1.906 | .068 |
control group (n = 15) | 18.33 ± 4.67 | 32.87 ± 6.19 |
*p < . 05, * *p < . 001
eye-hand coordination(EH), copying(CO), figure-ground(FG), visual closure(VC), form constancy(FC), motor reduced visual perception(MRVP), visual-motor integration (VMI), general visual perception(GVP).
Comparison of K-DTVP-3 effects in each group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pre-test(M ± SD) | post-test(M ± SD) | t | p | ||
---|---|---|---|---|---|
EH | experimental group (n = 13) | 66.15 ± 39.65 | 116.46 ± 33.02 | -13.107 | .000** |
control group (n = 15) | 85.73 ± 40.34 | 119.27 ± 30.37 | -5.002 | .000** | |
CO | experimental group (n = 13) | 9.08 ± 5.71 | 23.85 ± 11.28 | -7.545 | .000** |
control group (n = 15) | 8.60 ± 5.36 | 21.73 ± 4.35 | -9.481 | .000** | |
FG | experimental group (n = 13) | 19.92 ± 10.48 | 39.54 ± 12.31 | -9.445 | .000** |
control group (n = 15) | 22.27 ± 9.46 | 33.40 ± 9.89 | -6.492 | .000** | |
VC | experimental group (n = 13) | 8.31 ± 2.81 | 16.46 ± 3.89 | -9.174 | .000** |
control group (n = 15) | 6.13 ± 3.62 | 14.13 ± 2.80 | -11.695 | .000** | |
FC | experimental group (n = 13) | 21.08 ± 4.94 | 37.08 ± 5.89 | -9.161 | .000** |
control group (n = 15) | 21.60 ± 6.63 | 32.87 ± 4.09 | -8.174 | .000** | |
GVP | experimental group (n = 13) | 28.31 ± 5.28 | 60.62 ± 12.26 | -10.721 | .000** |
control group (n = 15) | 30.40 ± 5.58 | 53.87 ± 11.72 | -10.328 | .000** | |
VMI | experimental group (n = 13) | 9.00 ± 2.68 | 23.92 ± 7.44 | -11.152 | .000** |
control group (n = 15) | 13.40 ± 7.67 | 23.80 ± 10.43 | -5.852 | .000** | |
MRVP | experimental group (n = 13) | 19.38 ± 3.3 | 38.23 ± 8.75 | -11.256 | .000** |
control group (n = 15) | 18.33 ± 4.67 | 32.87 ± 6.19 | -9.591 | .000** |
*p < .05, **p < .001 001
eye-hand coordination(EH), copying(CO), figure-ground(FG), visual closure(VC), form constancy(FC), motor reduced visual perception(MRVP), visual-motor integration (VMI), general visual perception(GVP)
중재 전ㆍ후 두 집단 간 감각 실행 기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 표본 t 검정을 시행했을 때, 두 집단 모두 중재 후 실행 기능이 향상되었으나,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Fine Motor precision, Fine Motor Integration, Manual dexterity, Balance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p < .05) (Table 3). 각 집단 내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 검정을 시행했을 때는 두 집단 모두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평균 점수는 실험군에서 더 큰 폭으로 증가했고(Table 5), 결과적으로 감각통합치료 및 CoTras-c 프로그램을 병행한 중재가 감각 실행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Compare pre- and post-intervention BOT-2 Praxia function differences
pre-test(M ± SD) | post-test(M ± SD) | t | p | ||
---|---|---|---|---|---|
Fine Motor precision | experimental group (n = 13) | 8.76 ± 4.40 | 26.23 ± 5.18 | 8.694 | .000** |
control group (n = 15) | 9.13 ± 2.90 | 18.00 ± 3.46 | |||
Fine Motor Integration | experimental group (n = 13) | 6.61 ± 4.70 | 23.85 ± 5.21 | 3.967 | .001** |
control group (n = 15) | 6.20 ± 3.88 | 17.20 ± 4.38 | |||
Manual dexterity | experimental group (n = 13) | 8.38 ± 4.19 | 28.15 ± 8.42 | 6.741 | .000** |
control group (n = 15) | 8.47 ± 2.83 | 15.93 ± 4.79 | |||
Bilateral coordination | experimental group (n = 13) | 3.69 ± 1.88 | 17.38 ± 3.28 | -1.579 | .127 |
control group (n = 15) | 3.73 ± 1.58 | 18.93 ± 2.19 | |||
Balance | experimental group (n = 13) | 15.54 ± 4.07 | 28.08 ± 4.44 | -3.745 | .001** |
control group (n = 15) | 14.40 ± 3.96 | 30.40 ± 2.23 | |||
Running speed and agility | experimental group (n = 13) | 9.84 ± 4.51 | 22.00 ± 6.20 | -1.812 | .082 |
control group (n = 15) | 12.47 ± 3.68 | 27.73 ± 5.59 | |||
Upper-Limb Coordination | experimental group (n = 13) | 3.39 ± 2.93 | 24.62 ± 8.31 | 2.007 | .055 |
control group (n = 15) | 5.13 ± 3.89 | 21.13 ± 4.20 | |||
Strength | experimental group (n = 13) | 4.15 ± 2.94 | 20.23 ± 5.17 | .989 | .332 |
control group (n = 15) | 7.87 ± 3.18 | 21.73 ± 5.06 |
*p < . 05, **p < . 001
Comparison of BOT-2 effects in each group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pre-test(M ± SD) | post-test(M ± SD) | t | p | ||
---|---|---|---|---|---|
Fine Motor precision | experimental group (n = 13) | 8.76 ± 4.40 | 26.23 ± 5.18 | -21.260 | .000** |
control group (n = 15) | 9.13 ± 2.90 | 18.00 ± 3.46 | -15.171 | .000** | |
Fine Motor Integration | experimental group (n = 13) | 6.61 ± 4.70 | 23.85 ± 5.21 | -11.951 | .000** |
control group (n = 15) | 6.20 ± 3.88 | 17.20 ± 4.38 | -12.298 | .000** | |
Manual dexterity | experimental group (n = 13) | 8.38 ± 4.19 | 28.15 ± 8.42 | -11.584 | .000** |
control group (n = 15) | 8.47 ± 2.83 | 15.93 ± 4.79 | -9.500 | .000** | |
Bilateral coordination | experimental group (n = 13) | 3.69 ± 1.88 | 17.38 ± 3.28 | -18.798 | .000** |
control group (n = 15) | 3.73 ± 1.58 | 18.93 ± 2.19 | -24.266 | .000** | |
Balance | experimental group (n = 13) | 15.54 ± 4.07 | 28.08 ± 4.44 | -13.085 | .000** |
control group (n = 15) | 14.40 ± 3.96 | 30.40 ± 2.23 | -24.440 | .000** | |
Running speed and agility | experimental group (n = 13) | 9.84 ± 4.51 | 22.00 ± 6.20 | -11.200 | .000** |
control group (n = 15) | 12.47 ± 3.68 | 27.73 ± 5.59 | -16.447 | .000** | |
Upper-Limb Coordination | experimental group (n = 13) | 3.39 ± 2.93 | 24.62 ± 8.31 | -11.450 | .000** |
control group (n = 15) | 5.13 ± 3.89 | 21.13 ± 4.20 | -13.342 | .000** | |
Strength | experimental group (n = 13) | 4.15 ± 2.94 | 20.23 ± 5.17 | -15.359 | .000** |
control group (n = 15) | 7.87 ± 3.18 | 21.73 ± 5.06 | -11.345 | .000** |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 및 CoTras-C 프로그램을 활용한 작업 치료가 발달 지연 아동의 시-지각 기능 및 감각 실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연구자에 의한 오염 요인을 줄이기 위하여 실험군, 대조군 모두의 평가는 본 연구자 단독으로 시행하였고, 무작위 배정으로 배정하여중재에 참여하지 않는 5년이상 아동 작업치료 경력이 있는 작업치료사가 모든 참가자를 동일한 확률로 실험군 15명과 대조군 15명으로 나누었으나, 중재가 진행되는 동안 연구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대상자 2명을 제외하여 실험군 집단은 13명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실험군 대조군 모두 중재 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특히 CoTras-C 프로그램을 병행한 실험군이 시-지각 능력 및 실행 능력에서 더 큰 향상을 보였다.이는, CoTras-C 프로그램이 안구운동, 눈-손 협응, 공간 관계 향상에 유용하다는 기존 주장을 뒷받침한다.
발달 지연 아동의 실행 능력은 흔히 조절 능력, 운동 계획 및 양측 협응, 움직임과 타이밍 면에서 낮은 성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지만, CoTras-C 프로그램과 감각통합 치료를 병행한 실험군의 집단 간 비교에서는 실행 기능 항목 중에서 Fine Motor precision, Fine Motor Integration, Manual dexterity, Balance 에서 점수 향상이 확인되었다. 이는 CoTras-C 프로그램이 눈과 손의 협응을 중심으로 훈련을 강화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반면, 감각통합 치료만을 받은 대조군은 Bilateral coordination, Upper-Limb Coordination, Strength 항목에서 평균 점수가 크게 향상 된 것이 나타났다. 이는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감각통합 치료를 더 중점적으로 훈련 받은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CoTras-C 프로그램이 발달 지연 아동의 시-지각 및 인지 수행 능력에 향상을 목표로 하였던 [29,32,33] 연구 결과와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 및 단기 기억력 향상을 목표로 하였던[34]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발달 지연 아동만 선정하여 적용한 것으로, 모든 대상군의 아동에게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어려우며, 표본 수가 적고, 장기간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CoTras-C 프로그램의 3가지 활동을 10분으로 고정하여 진행했는데, 문제의 수가 일관되지 않았던 한계가 있었고, 연구 과정에서 아동의 개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같은 프로그램을 반복 학습하여 흥미 유지에 문제를 보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문제의 수를 고정하거나, 중재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높이고, 아동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접근과 특히, 청각, 시각 방어가 있는 아동을 위한 특별한 배려와, 다양한 수준의 난이도 조절도 고려 되어야 한다. 또한, 연구 대상자들이 다른 기관에서 치료와 교육을 병행하고 있어 이러한 외부 중재가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이를 통제할 수 있는 연구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 지연 아동에게 감각통합 치료와 CoTras-C 프로그램을 병행하였을 때 시-지각 능력과 실행 능력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5, 6세 아동 28명을 임의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군에는 CoTras-c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지각 훈련과 감각통합 치료를 적용하고, 대조군에는 감각통합 치료만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모두 발달 지연 아동의 시-지각 능력, 실행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집단 간 차이에서 CoTras-c 프로그램을 병행한 실험군은 EH, FG, FC, GVP, Fine Motor precision, Fine Motor Integration, Manual dexterity,Balance 항목에서 큰 향상 폭을 보였다. 이는 CoTras-C 프로그램이 눈과 손의 협응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고, 반면 감각통합 치료만 받은 대조군은 Bilateral coordination, Upper-Limb Coordination, Strength 항목에서 평균 점수의 향상을 보였는데, 이는 신체 운동과 관련된 영역은 감각통합 치료만으로도 충분히 효과적이기 때문에 두 집단 모두 서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왔다고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 지연 아동의 시-지각 및 실행 능력 향상을 위해 감각통합 치료와 CoTras-c 프로그램을 병행하는 접근이 효과적인 것을 의미하며, 향후 다양한 치료 접근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발달 지연 아동의 시-지각 기능과 감각 실행 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 전략으로 CoTras-C 프로그램과 같은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이 감각통합 치료와 함께 사용될 때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